연봉은 회사와 고용계약서에 명시된 금액이지만, 실제로 받는 돈(실수령액)은 세금과 4대 보험료를 제외한 금액입니다. 2025년 최저임금은 2024년보다 1,7% 인상된 시간당 10,030원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연봉 실수령액이 어떻게 변하는지, 세금 공제는 어떻게 계산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1. 2025년 최저임금에 따른 월급 계산
✅ 2025년 최저임금: 시급 10,030원, 일급 80,240원
이를 기준으로 월급과 연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근무시간 | 월급 (세전) | 연봉 (세전) |
주 40시간 | 2,096,260원 | 25,155,120원 |
주 52시간 | 2,725,140원 | 32,701,680원 |
즉,
✅ 주 40시간 근무 시 세전 연봉 약 2,516만 원
✅ 주 52시간 근무 시 세전 연봉 약 3,270만 원입니다.
2. 25년 연봉별 실수령액 계산
연봉에서 소득세, 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 등을 공제하면 실제로 통장에 들어오는 수령액이 줄어듭니다.
연봉별 실수령액 (2025년 기준)
연봉 (세전) | 월급 (세전) | 월급 (실수령액) | 연봉 (실수령액) |
2,516만 원 | 2,096,260원 | 약 1,875,000원 | 약 22,500,000원 |
3,000만 원 | 2,500,000원 | 약 2,224,000원 | 약 26,688,000원 |
4,000만 원 | 3,333,333원 | 약 2,878,000원 | 약 34,536,000원 |
5,000만 원 | 4,166,667원 | 약 3,497,000원 | 약 41,964,000원 |
6,000만 원 | 5,000,000원 | 약 4,121,000원 | 약 49,452,000원 |
각 개인마다 공제되는 항목(가족 수, 부양가족)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3. 연봉 실수령액 계산 방법
① 소득세 계산
소득세는 누진세 구조로, 연봉 구간별로 다르게 적용됩니다.
과세표준 (연 소득) | 세율 | 적용 방식 |
1,400만 원 이하 | 6% | (소득 - 0) × 6% |
1,400만 원 ~ 5,000만 원 | 15% | (소득 - 1,400만 원) × 15% + 84만 원 |
5,000만 원 ~ 8,800만 원 | 24% | (소득 - 5,000만 원) × 24% + 654만 원 |
예를 들어, 연봉 3,000만 원이면 소득세는 약 263만 원입니다.
② 4대 보험료 공제
4대 보험료는 연봉의 약 *9~10%*가 공제됩니다.
항목 | 공제 비육 | 계산 방식(연봉 3,000만 원 기준) | 월 공제액 |
국민연금 | 4.5% | 3,000만 원 × 4.5% | 약 112,500원 |
건강보험 | 3.545% | 3,000만 원 × 3.545% | 약 88,625원 |
장기요양보험 | 건강보험료의 12.81% | 88,625원 × 12.81% | 약 11,350원 |
고용보험 | 0.9% | 3,000만 원 × 0.9% | 약 22,500원 |
4대 보험료 총 공제액은 월 약 235,000원입니다.
4.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사용 방법
정확한 실수령액은 세금 및 공제 항목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, 온라인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를 활용하여 정확한 금액을 확인하 것이 좋습니다.
✅ 추천 계산기 사이트
🔹 국세청 홈택스 (www.hometax.go.kr)
🔹 고용노동부 월급 계산기 (www.moel.go.kr)
🔹 4대보험 포털 사이트 (www.4insure.or.kr)
결론
25년 최저임금 기준으로 연봉과 실수령액을 계산하면, 세금과 4대 보험료를 공제한 후의 실제 받는 수령 금액이 줄어듭니다. 따라서 연봉 협상이나 이직을 할 경우에는 세후 실수령액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. 또한,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를 활용하여 자신의 정확한 실수령액을 미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